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총정리(피난방법, 대처법, 대피장소, 안전한장소, 엘리베이터)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총정리(피난방법, 대처법, 대피장소, 안전한장소, 엘리베이터)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총정리: 생명을 지키는 완벽 가이드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지대가 아닙니다. 갑작스러운 지진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나와 가족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지진 발생 전 대비부터 지진 발생 시 상황별 행동요령, 안전한 피난 방법 및 대피 장소, 그리고 특히 주의해야 할 엘리베이터 이용 수칙까지, 모든 지진 행동요령을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미리 숙지하고 연습하여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지진발생시 피난 방법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이 시작되면 즉각적으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흔들림이 멈춘 후에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다음은 지진 발생 시 일반적인 피난 방법입니다.

1. 흔들릴 때는 몸을 보호하세요

지진으로 흔들림을 느끼는 순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탁자 다리를 꽉 잡아서 흔들림에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합니다. 주변에 튼튼한 가구가 없다면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벽 모서리 등 상대적으로 안전한 공간에 웅크리는 것이 좋습니다. 떨어질 수 있는 물건들이 많은 곳에서는 특히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1_01.jpg" alt="지진 발생 시 탁자 아래로 몸을 보호하는 사람의 모습">

지진으로 흔들릴 때는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고 탁자 다리를 꼭 잡습니다.

2. 흔들림이 멈추면 침착하게 대처하세요

흔들림이 완전히 멈췄다고 느껴지면,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여 2차 피해(화재, 폭발 등)를 예방합니다. 그리고 문이나 창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뒤틀리면서 문이 열리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출입문을 열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깨진 유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1_02.jpg" alt="지진 흔들림이 멈춘 후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하는 사람의 모습">

흔들림이 멈추면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3. 건물 밖으로 신속히 이동하세요

출구가 확보되면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절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는 지진으로 인해 작동이 멈추거나 추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조각, 간판, 기와 등 낙하물에 주의하며,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이동해야 합니다. 건물에서 멀리 떨어져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1_03.jpg" alt="건물 밖으로 계단을 이용해 대피하는 사람들의 모습">

건물 밖으로 나갈 때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동합니다.

지진발생시 대처법

지진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자신이 있는 장소에 따라 맞춤형 대처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주요 장소별 지진 대처 요령입니다.

1. 집 안에 있을 경우

  • 지진으로 흔들릴 때는 튼튼한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고, 탁자 다리를 꽉 잡습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즉시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 후 밖으로 대피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2_01.jpg" alt="집 안에 있을 때 탁자 아래로 몸을 피하는 모습">

집 안에 있을 때는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고 흔들림이 멈추면 전기·가스를 차단하고 출구를 확보해야 합니다.

2. 집 밖에 있을 경우

  • 떨어지는 유리, 간판, 담장, 전봇대 등에 주의하며, 건물과 거리를 두고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최근에 지은 튼튼한 건물 안도 일시 대피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3. 고층건물에 있을 경우

  • 고층건물은 낮은 층보다 흔들림이 크고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대부분의 고층건물은 내진설계가 적용되어 지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건축되었으므로, 일단 실내에서 안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학교에 있을 경우

  • 책상 아래로 들어가 책상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며 창문과 떨어져 운동장 등 넓은 야외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5. 백화점·마트에 있을 경우

  •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했다가,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6. 극장·경기장에 있을 경우

  •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자리에 있다가,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7.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웁니다.
  • 라디오의 재난방송 정보를 잘 듣고, 대피해야 할 때에는 다른 차량의 통행을 위해 열쇠를 꽂아 두거나 차 안에 두고 문을 잠그지 않은 채 대피합니다. 도로 중앙 부분은 긴급차량 통행을 위해 비워두어야 합니다.

8. 전철을 타고 있을 경우

  • 손잡이나 기둥을 꽉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전철이 멈추면 안내 방송에 따라 침착하게 행동합니다. 전철 안은 비교적 안전한 공간으로 간주됩니다.

9. 산·바다에 있을 경우

  • 산에서는 산사태나 절벽 붕괴에 주의하며 급한 경사지를 피해 평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해안에 있을 경우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즉시 3층 이상의 튼튼한 건물이나 높은 곳으로 이동하여 대피해야 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2_04.jpg" alt="산과 바다에서 지진 발생 시 대피하는 모습">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는 산사태와 절벽 붕괴에 주의하고, 지진해일 발생 시 높은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지진발생시 대피장소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이 멈추고 건물 밖으로 나왔다면, 2차 피해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는 대피 장소를 찾아 이동해야 합니다. 다음은 지진 발생 시 안전한 대피 장소와 지진해일 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장소입니다.

1. 야외 넓은 공간으로 대피하세요

건물 밖으로 나온 후에는 낙하물이나 붕괴 위험이 없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운동장, 공원, 넓은 공터 등 주위에 건물이 없는 넓은 야외 공간이 가장 안전한 대피 장소입니다. 대피할 때는 차량을 이용하지 말고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1_05.jpg" alt="운동장과 같은 넓은 공간으로 대피하는 사람들의 모습">

떨어지는 물건에 유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차량 이용 금지).

2. 지진해일 발생 시 높은 곳으로 이동하세요

해안가에서 지진이 발생했거나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었다면, 즉시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로 지정된 곳이나 주변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3층 이상의 튼튼한 건물도 임시 대피 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 지진해일은 순식간에 내륙으로 밀려들어오므로 망설이지 말고 신속하게 높은 지대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긴급대피장소는 지진해일 발생 시 주민들이 10분 이내에 대피가 가능한 안전한 장소를 의미합니다. 평소 거주지 주변의 긴급대피장소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대피 장소에서는 올바른 정보에 귀 기울이세요

안전한 대피 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라디오, TV, 스마트폰의 재난방송 등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해야 합니다.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안내에 따라 추가 행동요령을 준수해야 합니다. 대피소에서는 이재민 간에 협력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1_06.jpg" alt="대피 장소에서 라디오를 통해 재난 정보를 듣는 사람들의 모습">

대피 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지진발생시 안전한 장소

지진 발생 시 '안전한 장소'는 지진의 흔들림이 진행되는 동안 잠시 몸을 보호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합니다. 대피 장소와는 다르게, 지진이 멈추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머물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공간입니다.

1. 실내에서의 안전한 장소

  •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 지진이 발생하면 즉시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로 들어가 머리와 목을 보호해야 합니다. 가구 아래에 몸을 웅크리고 다리를 꽉 잡고 있으면, 떨어지는 물건이나 무너지는 잔해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벽 모서리 또는 기둥 근처: 튼튼한 가구가 없다면, 떨어지는 물건이 없는 벽 모서리나 건물의 기둥 근처로 이동하여 몸을 웅크리고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침대 옆: 침대 옆은 생각보다 안전한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건물이 무너지더라도 침대가 '생존 삼각형'을 만들어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유리창 및 무거운 가구에서 멀리 떨어지세요: 창문 유리가 깨지거나, 무거운 책장, 장롱, 냉장고 등이 넘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2. 실외에서의 안전한 장소

  • 건물, 담장, 전봇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 건물 밖에서는 건물 파편, 간판, 유리, 담장, 전봇대 등이 쓰러지거나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넓고 개방된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 보호: 실외에서도 낙하물의 위험이 크므로,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단단히 보호하며 이동해야 합니다.

지진발생시 엘리베이터

지진 발생 시 엘리베이터는 가장 위험한 장소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엘리베이터 이용에 대한 명확한 행동 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mg src="https://www.weather.go.kr/pews/man/img/b2_05.jpg" alt="엘리베이터 안에서 지진 발생 시 대처하는 모습">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고, 안에 있을 경우 모든 층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려야 합니다.

1. 지진 발생 시 엘리베이터를 타지 마세요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는 갑자기 멈추거나, 전원이 차단되어 내부에 갇힐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추락할 가능성도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면 절대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계단을 이용하여 이동해야 합니다.

2.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경우 대처법

만약 지진이 발생했을 때 이미 엘리베이터 안에 있다면, 다음과 같이 행동해야 합니다:

  • 모든 층의 버튼 누르기: 당황하지 말고, 가장 먼저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리기: 엘리베이터가 지진 발생 시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 층에 멈추도록 설계된 경우가 많으므로,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립니다.
  •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 엘리베이터에서 내린 후에는 절대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 갇혔을 때: 만약 엘리베이터가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도 움직이지 않거나 문이 열리지 않고 갇히게 된다면, 당황하지 말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인터폰이나 비상 버튼을 눌러 외부와 연락을 취하고 구조를 기다려야 합니다.

결론: 미리 대비하고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진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철저한 대비와 침착한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안내해 드린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들을 평소에 가족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연습하여 몸에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거주지 주변의 대피 장소를 미리 파악하고,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는 등 철저한 대비를 통해 나와 가족의 안전을 지켜나가시기를 바랍니다. 작은 관심과 준비가 큰 재난으로부터 우리의 생명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