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폰트 찾는 법과 사용 시 주의점
블로그·썸네일·프레젠테이션의 완성도는 폰트 선택에서 갈립니다. 하지만 무료=무조건 안전은 아닙니다. 라이선스 확인→신뢰 출처→적용·최적화→저작권 리스크 관리 순서로 안전하고 예쁜 폰트를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폰트 라이선스 기본 이해
| 유형 | 핵심 의미 | 상업적 사용 | 재배포 |
|---|---|---|---|
| CC0 / Public Domain | 저작권 포기 또는 만료, 자유 사용 | 가능 | 가능 |
| SIL OFL | 오픈 폰트 라이선스, 수정·배포 가능(폰트명 조건 등) | 가능 | 가능(조건 준수) |
| Apache/MI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일부 폰트에 적용 | 가능 | 가능 |
| Free for commercial use | 상업적 무료 사용 허용 | 가능 | 대체로 불가(배포 금지) |
| Free for personal use | 개인용 무료, 상업용은 유료 | 불가 (별도 구매 필요) | 불가 |
2) 신뢰 가능한 폰트 출처
Google Fonts
웹·앱에서 널리 쓰는 공개 폰트 허브. 한글 지원 폰트(예: Noto Sans/Serif KR 등)와 다양한 가변 폰트를 제공.
공식 배포처(기업/기관)
기업·공공기관이 배포하는 한글 글꼴(예: 공공·브랜드 서체)은 안내 PDF에 상업적 사용 범위·금지 사항이 명확합니다.
프로젝트 깃허브
개발자/디자이너가 공개한 한글 오픈소스 폰트(가변 폰트 포함). LICENSE 파일로 라이선스 확인.
국내 글꼴 모음 허브
지자체/기관 모음 페이지. 링크가 “원 배포처”로 연결되는지 확인하고 다운로드하세요.
블로그·카페 등에 올라온 재업로드 파일은 버전·무결성·라이선스 왜곡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원 출처에서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용도별 추천 폰트 유형
본문(가독성 최우선)
- 산세리프: 화면 가독성 우수, 모바일에 적합. 예: 고정폭이 과하지 않은 현대적 고딕류.
- 세리프: 긴 글에 차분한 느낌. 블로그 에세이·학습 콘텐츠에 어울림.
헤드라인/썸네일(시선 집중)
- 두꺼운 웨이트 혹은 디스플레이 서체로 대비 강조.
- 한글의 경우 자간·행간을 넉넉히(자간 -2~0, 행간 1.4~1.6) 잡으면 깔끔.
UI/표·수치
- 숫자 정렬을 위한 탭피겨(tabular lining) 지원 여부 확인(표·가격에 중요).
- 가변 폰트(variable)로 미세 웨이트 조정 → 일관된 UI 가능.
4) 웹폰트 적용 방법(CSS)
4.1 CDN(간편)
<!-- 예: Google Fonts -->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oogleapis.com">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static.com" crossorigin>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oto+Sans+KR:wght@400;700&display=swap" rel="stylesheet">
<style>
body{font-family:"Noto Sans KR","Apple SD Gothic Neo","Malgun Gothic",sans-serif}
</style>
4.2 자체 호스팅(성능·통제 우수)
@font-face{
font-family:"MySansKR";
src:url("/fonts/MySansKR.woff2") format("woff2"),
url("/fonts/MySansKR.woff") format("woff");
font-weight:400 700; /* 가변 폰트면 범위로 */
font-style:normal;
font-display:swap;
unicode-range: U+AC00-D7A3, U+0030-0039, U+0041-005A, U+0061-007A;
}
body{font-family:"MySansKR","Noto Sans KR",system-ui,sans-serif}
font-display: swap;은 초기 시스템 폰트로 먼저 보여주고, 로딩 후 치환합니다. CLS(레이아웃 흔들림)이 적은 폰트를 선택하세요.
5) 성능 최적화(서브셋·포맷·전략)
- WOFF2 우선: 동일 품질 대비 용량 최소.
- 서브셋: 실제 사용하는 문자만 포함(예: 한글+영문+숫자). 필요한 경우 본문용/헤드라인용을 분리.
- 가변 폰트: 여러 웨이트를 1파일로 → 요청 수 감소.
- 프리로드: 핵심 폰트는
<link rel="preload" as="font" type="font/woff2" crossorigin>로 첫 페인트 가속. - 폴백 스택: 폰트 미로딩 시 시스템 폰트로 자연스럽게 대체.
6) 저작권 리스크 체크리스트
필수 확인
- [ ] 상업적 사용 가능 문구
- [ ] 웹 임베드/앱 임베드 허용 여부
- [ ] 재배포 금지 조항(패키지 포함 배포 등)
- [ ] 로고·상표 사용 제한(특정 용도 금지)
문서 보관
- [ ] 배포 페이지 캡처(PDF 저장)
- [ ] LICENSE/README 파일 폴더 보관
- [ ] 적용 버전·파일 해시 기록
7) 가독성과 브랜드 톤을 살리는 요령
- 자간·행간: 본문 자간 -1~0, 행간 1.6~1.8이 모바일 가독성에 적합.
- 대비: 본문 16~18px(모바일 기준), 색 대비 비율 WCAG 4.5:1 이상.
- 숫자/단위: 가격·표에는 고정폭 숫자를, 단위는 얇은 공백( )으로 분리.
- 일관성: 제목·본문·캡션의 스타일 스케일(H1~H6, body, small)을 디자인 토큰으로 고정.
:root{
--font-head:"Pretendard","Noto Sans KR",system-ui,sans-serif;
--font-body:"Noto Sans KR",system-ui,sans-serif;
}
h1,h2,h3{font-family:var(--font-head);font-weight:700}
body{font-family:var(--font-body);font-size:16px;line-height:1.75;letter-spacing:-0.01em}
폰트의 x-height(소문자 키 높이)가 큰 서체는 작은 크기에서도 가독성이 좋습니다. 모바일 위주 블로그에 유리합니다.
8) FAQ
Q1. “상업적 무료”면 웹폰트로 마음대로 임베드해도 되나요?
반드시 웹 임베드 허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인쇄·이미지 사용만 허용하고, 앱/웹 임베드는 제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Q2. 무료 폰트를 고객 프로젝트에 전달해도 되나요?
대부분 재배포 금지입니다. 배포처 링크를 전달하거나, 고객사가 직접 내려받도록 안내하세요.
Q3. 가변 폰트는 꼭 써야 하나요?
필수는 아니지만, 다수 웨이트가 필요할 때 요청 수와 용량을 줄여 성능을 개선합니다.
Q4. 폰트 파일 용량이 커서 로딩이 느립니다. 해결법은?
WOFF2 사용, 서브셋 생성, 핵심 웨이트만 로딩, font-display: swap, 프리로드를 적용하세요.
0 댓글